Skip to content
On this page

핵심 OSI 참조 모델 개념

N 표기법과 기타 OSI 모델 계층 용어

N 표기법

OSI 모델의 임의의 계층을 가리킬 때 "N 계층"이라고 칭합니다.

프로토콜

OSI 모델의 동일 계층에서 논리적 또는 물리적 장비 간의 통신을 가리킵니다.

인터페이스

동일한 장비의 인접 계층 간에 이동하는 정보를 의미합니다.

서비스

특정 계층이 상위 계층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리킵니다.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payload를 받아서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가집니다.

OSI 모델에서 상위 계층일수록 SW를 주로 다루는 추상적인 작업에, 하위 계층일수록 신호 전송과 HW에 가까운 작업을 다룹니다.

인터페이스: 수직(인접 계층) 통신

동일한 장비 내에서 N계층과 (N-1)계층 또는 (N+1)계층과 N계층 사이의 통신을 가리킵니다.

OSI 모델에 따르면 N계층은 (N+1)계층으로 (N+1)계층 PDU(=N계층 SDU)에 header와 footer를 추가하는 캡슐화 과정을 거쳐 N계층 PDU로 만드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N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잘 문서화된 인터페이스를 (N+1)계층한테 제공해야 합니다. 그래야 상위계층은 하위계층의 세부구현에 대한 지식없이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수평(대응 계층) 통신

네트워크 장비 간의 동일 계층에서 동작하는 HW/SW 간의 통신을 가리킵니다.

2개 이상의 장비 간의 통신은 사실 논리적인 통신으로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은 1계층에서만 일어납니다.

그래서 송신장비의 N계층 메시지를 수신장비의 N계층으로 전송하려면 1계층까지 전달하여 물리적인 경로로 전송한 다음 수신장비 1계층에서 N계층으로 다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합니다.

데이터 캡슐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서비스 데이터 유닛

OSI Encapsulation

간접 장비 연결과 메시지 라우팅

송신장비에서 중간장비를 거쳐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한 수신장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라우팅은 일반적으로 3계층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3계층 중간장비는 라우터가 담당합니다.

실제 라우팅은 3계층에서 일어나므로 송신장비 + 라우터 + 최종장비는 동일한 3계층 프로토콜을 따라야 합니다.

하지만 라우터의 1계층과 2계층은 다른 프로토콜로 구현해도 문제가 없는데 이것이 계층구조의 강력한 장점입니다.

OSI Rou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