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n this page

주소결정 개념과 이슈

주소결정의 필요성

장비들간의 논리적인 통신(hop-to-hop)은 3계층 주소를 사용하지만, 실제 물리적인 통신은 2계층 주소를 사용하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3계층 -> 2계층 주소로의 변환로직이 필요합니다.

직접매핑을 통한 주소결정

3계층의 일부를 통해 2계층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단순하지만 두 주소간의 의존성이 높아서 유연하지 않고 3계층 주소의 길이가 2계층 주소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동적매핑을 통한 주소결정

특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3계층 주소를 가진 장비의 2계층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broadcast하면 해당 3계층 주소를 가진 장비가 자신의 2계층 주소 정보를 unicast하는 방식입니다.

직접매핑에 비해 추가적인 메시지 전송이 필요하지만 2계층 주소와 3계층 주소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유연성이 높아집니다.

특정 3계층 주소에 대한 2계층 주소 또는 2계층 주소에 대한 3계층 주소 정보를 알아낼 때마다 장비 내에 일정 시간동안 캐싱하는 방법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