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n this page

Domain

구조

Domain 구조

도메인은 서버 주소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하는 주소지정 방식으로, 보통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읽습니다.

TLD(Top Level Domain)

도메인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여 해당 도메인의 전반적인 운영목적을 보여줍니다.

.com, .org, .net과 같은 TLD는 아무 도메인에 붙여도 되지만 일부는 정해진 특수목적을 위해서 허가된 조직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FO

  • 특정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특정 나라에서 호스팅하는 경우 : .us, .fr, .kr
  • 정부 부처에서 운영하는 서버인 경우 : .gov
  • 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인 경우 : .edu

Label

TLD 왼쪽으로 붙은 문자열로 .으로 구분합니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최대 63자의 알파벳 + 0부터 9까지의 한자리 숫자 + - 또는 _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이 가질 수 있는 label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습니다.

SLD(Secondary Level Domain)

TLD 바로 왼쪽에 위치한 label을 가리킵니다.

관리

서버의 도메인은 한번 구매해서 계속 사용하는 것이 아닌 1년 단위로 사용기간을 정하여 대여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기간이 지날 때마다 갱신해야 합니다.

registrar(레지스트라)라고 불리는 기관/회사에서 도메인 이름 등록과 관리를 담당합니다.

DNS Refreshing

DNS Refreshing

전세계적으로 퍼져 있는 DNS 서버들은 계층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각자 담당하는 도메인에 속하는 서브 도메인들의 IP 주소들을 관리합니다.

만일 registrar에서 특정 도메인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면 이 정보는 해당 도메인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도메인들에게 반영이 되도록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물론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기까지 시간은 좀 걸립니다.

DNS Process

DNS Process

브라우저에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누르면 브라우저는 먼저 local DNS cache을 먼저 확인해봅니다.

만일 대응되는 IP 주소가 없다면 root level DNS에서부터 시작하여 트리를 타고 내려오면서 이 도메인을 담당하는 DNS 서버의 주소를 알아냅니다.

해당 DNS 서버에서 도메인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알아내어 브라우저로 전달하면 세션연결을 시작합니다.